가을 제철인 송이 버섯, 맛과 향이 최고라고 하는 송이버섯은 점점 생산량이
감소하면서 안그래도 비싸 서민들이 먹어 보지 못하는데 점점 더 비싸지고 있는
상황이다. 올해도 과연 송이버섯을 먹어 볼 수 있을지....
그런데 송이버섯을 인공재배에 성공을 했다고 한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인공재배기술
개발을 위해 2001~2004년 식재한 송이균감염 소나무묘목에서 세 개의 송이버섯을
확인했다고 공개했다. 2010년 10월 같은 시험지에서 한 개가 발생한데 이어 두 번째
송이가 발견 된 것이다. 불가능한 것으로 평가됐던 송이버섯 인공재배가 가능함을
세계 최초로 입증을 하게 된 것이다. 지금까지 여러 나라에서 송이 인공배재를
시도 했지만 1983년 일본 히로시마임업시험장에서 감염묘를 이용해 한 개의 버섯을
자라게 한 것이 있다. 일본에서 같은 방법을 이용해서 1만그루의 감염묘를 만들었지만
버섯발생에 성공하지 못한것에 비해 상당한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살림과학원은 2000년부터 송이 감염묘 연구를 추진하면서 연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된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감염묘를 이용하는 기술은 송이가 나던 곳에 소나무 묘목을 심어 송이균을 감염시킨
후 송이가 발생하지 않는 큰 소나무가 있는 산으로 옮겨 심는 방식이다. 홍천국유림에
시험지를 조성해 150본의 감염묘를 심어 2006년 조사한 결과 21본에서 송이균이 확인
되었다. 감염묘를 이용한 인공재배는 한번 균이 정착하게 되면 30년 이상 채취가
가능해 상업적으로 상당히 큰 이익을 볼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