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인생극장에서는 강원도 원주의 아주 작은 마을인 흥업이라는
곳에 살고 있는 고진하씨와 그의 아내 권포근씨가 출연을 한다.
이들 부부는 60년 된 한옥인 불편당에서 살고 있다.
시인이자 목사인 고진하씨와 그의 아내 권포근씨가 살아가는 모습을 담았다.
부부가 살고 있는 불편당은 말 그대로 스스로 불편을 선택한 남편의 철학이
담겨져 있는 곳이다.
포근씨는 시인이자 목회자의 아내로 30년을 살아오고 있다.
하지만 30년이라는 세월은 자기 세계가 뚜렷한 남편 때문에 그리 쉬운 생활은
아니였다. 외롭고 힘든 시간을 견뎌야 했던 것이다.
그러다보니 포근씨는 염색과 바느질에 요리까지 못하는 것이 없는
팔방미인이 되었다.
지금은 서로 존중하며 서로의 생활에 대해서 인정을 하며 살고 있지만
남편 진하씨는 가장이라는 현실속에서 자신이 좋아하는 시과 자유만을
찾아 다니기는 쉬운일이 아니다.
현실 생활은 늘 진하씨에게 커다란 숙제가 되었다.
어려운 현실속에서 부인 포근씨는 절약의 지혜를 발휘하게 되었다.
개망초, 토끼풀, 쇠비름, 질경이 등을 이용해서 식탁위에는 세상에 하나뿐인
요리를 만들어 올리고 넉넉한 살림이 아니라 흔한것 마져 귀하게 생활을 하고
있는 포근씨.
잡초의 미학을 펼치며 살아가고 있는 진하씨와 포근씨 부부를 만나 본다.
부부는 34년전 제주도의 한 교회에서 처음 만났다.
12통이 넘는 연애편지를 주고받으면서 2년간의 연애 끝에 결혼을 했다.
예술인의 아내와 목회자의 사모로 힘든 삶은 살아야 하기에 포근씨 부모님은
이 둘의 결혼을 반대했다.
부모님이 걱정은 곧 현실이 되었다. 예술인으로 벌이가 벌로 되지 않고
주말이면 목회를 열어야 하기 때문에 쉬지도 못해 늘 모든 일은 아내
포근씨으 몫이 되었다.
더군다나 남편은 시를 쓰는 시간에는 혼자 있고 싶어해서 언제나
포근씨를 외롭게 만들었다.
이런 남편을 포근씨는 돈이 한푼 없어도 남편의 자존심을 상하게 하는 않았고
남과도 비교하지 않았다.
# 잡초, 흔한 것이 귀하다
두 해 전 초여름, 농작물이 타들어갈 정도로 가뭄이 심하던 때. 채소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자, 포근 씨는 문득 이런 생각을 했다. “그래, 까짓것 산과 들에 지천으로 널린 잡초나 뜯어 먹지 뭐.” 낡은 한옥에 살며 숱한 풀들을 봐온지라 식물도감을 펼치고 풀들을 유심히 살피고 공부했다. 개망초, 민들레, 토끼풀, 쇠비름, 질경이, 민들레… 마당에 흔하게 자라나던 식용 가능한 잡초들로 요리를 하니, 먹을 만했고, 입안이 향긋해졌다.
그 이후로 포근 씨는 가족들에게 잡초요리를 선보이기 시작했다.
처음엔 낯선 음식에 남편과 딸 고은비(32) 씨는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며 거부했지만, 어느새 그 매력에 흠뻑 빠졌다.
여러 가지 잡초를 무쳐 밥 위에 올린 향긋한 잡초 비빔밥으로 한 끼 식사를,
더운 날엔 꽃과 함께 얼린 꽃 얼음을 둥둥 띄운 시원한 잡초차를,
귀한 손님이 올 때엔 잡초 주먹밥과 토끼풀 튀김을…
흔하지만 귀한, 포근 씨의 특별한 밥상.
그리고 이 밥상을 통해 ‘흔한 것이 귀하다’라는 것을 알게 된 가족.
예측불가의 환경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강한 생명력과 적응력을 가진 잡초처럼…
넉넉하지 않지만 그 환경조차 즐기며 살아가고 있다.
# 이상과 현실사이
예술인으로 자유로움과 이상을 쫓기엔 현실의 벽은 너무도 컸다.
책을 쓰는 것만으로는 생활에 어려운 부분이 많아
진하 씨는 매주 한 번씩 시립도서관으로 강좌를 나가기 시작했다.
그리고 적지 않은 나이에 생계를 위해 파견 예술인 선정과정에서
젊은 예술인들과 경쟁하게 된 진하 씨…
“나 역시 가족 생계는 중요한 거라고 생각해요.
내가 나이 먹어서 젊은이랑 경쟁하면서,
마음 한편에는 안 하고 싶은 생각도 있는데 상황이 안 되니까…
그럴 때는 하기 싫은 것도 내가 해야지.” - 고진하INT
이런 씁쓸한 진하 씨의 마음을 가장 잘 이해해주는 것은
같은 예술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딸 은비 씨다.
조각가로 개인전 준비에 한창인 은비 씨는 같은 예술가인 아버지의 마음을,
같은 여자인 어머니의 지난 세월을 이해한다.
한편 포근 씨는 이상을 좇는 시인의 아내로 사는 사이, 팔방미인이 됐다.
흰 천을 감빛으로 물들이고, 한 땀 한 땀 수를 놓고,
꽃을 가꾸고, 살림에 윤기를 더하면서 마음을 다스려온 결실인 셈이다.
어떤 환경에도 적응하며 굳세게 살아남는 잡초처럼
지혜와 알뜰함으로 흔한 것도 귀하게 만들어 가는 가족,
이들이 전해주는 행복의 메시지에 귀를 기울여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