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매일 발을 딛고 사는 땅 아래에는 우리가 생각을 하는 것보다 상당히 많은 매설물들이 있다.
가장 많이 매설된 상하수도관의 경우 서울에만 3만km에 달한다. 이는 서울보다 3배나 넓은
일본 도쿄화 비슷한 수준이라고 한다.
가스관,통신선, 전력선도 각각 수천킬로미터에 이른다. 더군다낭 지하철이나 지하터널, 대형 건축물이
지어질 때마다 이런 매설물들을 옮기고 다시 묻어야 한다고 한다.
이 과정에서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을 한다. 굴착 한 뒤 지반을 제대로 다지지 않거나 매설물이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 이런것들이 땅꺼짐이나 동공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땅 밑의 상황을 볼 수 있는 것은 간접적으로 가능하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GPR"이라는
지반탐사 기법이다. 원리는 지면 아래로 전파를 보내 뒨 돌아오는 전파를 수신해 그래프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 방식을 통해 지반이 느슨한 정도와 빈 공간이 있는지 살펴 볼 수 있다.
물혼 지하에 구멍을 뚫어서 확인을 할 수 있다. 하지만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고 지상을 완전히
통제해야 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어 잘 사용을 하지 않고 있다.
국토부가 올해초부터 전국의 지반침하 우려지역에 대해 GPR 지반탐사를 시작한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도로에 균열이 생기거나 땅이 내려앉는 등 지반침하의 징후를 보이는 지역이
전국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하나하나 시추해서 확일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가장 쉬운 탐사
방법인 GPR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GPR장비 역시 서울을 제외한 다른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확보하고 있는 곳이 없다.
땅은 계속 꺼지고 있는데 자치단체에서는 그 원인과 실태를 정확하게 조사할만한 역량을
갖추지 못한겁니다. 국토부가 전국을 대상으로 조사에 나선 이유다.
(서울의 경우 자체적인 조사를 벌이고 있어서 국토부 조사 대상에서 제외됐다.)
국토부가 자치단체의 의뢰를 받아 탐사 대상으로 선정한 곳은 전국에서 모두 144곳이다.
취재파일K는 이 지반침하 우려지역의 주소와 탐사결과를 단독 입수해 '지반침하 우려지도'를
만들었다. 노란색으로 표시된 38곳이 조사가 완료된 곳이고, 파란색으로 표시된 106곳이
아직 조사가 끝나지 않은 지역이다.
자치단체가 관리하는 지반침하 우려지역의 위치와 정부의 전국적인 조사 결과가 공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기초자치단체 가운데 가장 많이 지반탐사를 신청한 곳은 전북 군산시다. 17곳에 달한다.
하수관거 부실시공으로 몇 해 전 홍역을 치렀던 곳이라고 한다. 탐사를 신청한 이유 역시
대부분 하수관로와 연관이 있었다. 인천의 경우에는 도시철도와 관련된 이유가 많아서
지역별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
이번에는 경기도 고양시의 한 건설현장으로 본기로 한다.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의 한 고층 빌딩
공사현장에 주변 도로에는 공사장을 둘러싼 도로 수십 미터에서 심각한 균열이 발견됐다.
10cm이상 움푹 주저앉은 인도는 육안으로만 봐도 충분히 위험해 보인다.
국토부가 추가 안전조치를 요구했고 해당 자치단체는 공사현장 주변에 계측기를 설치하는 등
정밀 안전진단에 들어갔다.
이번에 공개한 지도에는 국토부의 조사 결과 뿐만 아니라 자치단체에서 유일하게 자체 조사를
벌이고 있는 서울시의 동공 탐사 결과도 포함됐다. 지도에서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이다.
지반에서 밑으로 30cm 안쪽에 있거나, 너비가 50cm가 넘는 A,B등급 동공 25곳이다.
서울시는 올해안에 도심 500km구간에 대한 GPR탐사를 완료할 계획이어서 연말 쯤에는
더 많은 동공이 추가될 전망이다.
이번에 취재진이 '지반침하 우려지도'를 공개한 이유는 땅꺼짐과 지반침하 현상이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앞으로 더 많은 정보가 공개돼
스스로 안전을 지킬 수 있고, 정부와 자치단체에 자신의 안전에 대한 권리를 요구할 수 있는데
이용되었으면 한다. 물론 국토부의 경우 각종 지하 매설물 정보를 한데 모은
'지하공간 통합지도'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하지만, 데이터를 측정하는 데만도 3년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