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송

SBS스페셜 자궁추출술 너무나 친절한 의사들 병원의 고백 갑상선암 급증 이유

SBS스페셜 자궁추출술 너무나 친절한 의사들 병원의 고백

 갑상선암 급증 이유

 

 

 

의사도 직업이잖아요. 엄청난 초 할인 저수가에 의하면,

지금 대한민국 의료는 박리다매잖아요.
정석으로 진료하면 망하기 때문에

환자를 통해 창출될 수 있는 수요에 대해 강박관념이 있는 거죠.
사기 치지 않고 잘 먹고 살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이 들 때가 가장 회의감이 들죠.

-의사들의 고백 中

 

 

 오늘 SBS 스페셜에서 방송될 내용이다.

많은 사람들이 몸이 아프면 찾아 가는 곳이 병원이다. 하지만 어떤 경우는 병을 고치러

병원에 찾아 갔다가 더 큰병을 얻는 사람들이 있다. 환자를 돈으로 보고 있는 현실.

지금 병원에서는 환자를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그저 돈을 더 벌기 위한 도구로

보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오늘 방소에서는 현재 진료를 하고 있는 의사들의 고백을 통해 우리나라 의료의

현실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는다.

 

 

OECD 자궁적출술 1위의 비밀은?

34살 한 여성은 생리통이 심해 병원을 찾았다. 산부인과에서는 이 여성에게

자궁적출술을 하도록 권유를 했다.

의사는 자궁적출술을 하더라도 생리만 하지 않을 뿐 몸에는 전혀 이상이

없을 것일고 했다.

또한 2008년 한 여성은 자궁근종으로 자궁적출술을 받았다.

의사는 차라리 자궁이 없는게 났다고 말했지만 그녀는 수술을 한 후에 우울증과

후유증에 고생을 하고 있다고 한다.

자궁은 없어도 그만인 쓸모없는 기관이니 적출해버리자며 권유를 많이 하죠”
“혹 10개를 떼는 건 수술이 오래 걸려서 자궁 하나 뚝딱 잘라버리는 게 더 효율적이죠”
 
- 산부인과 전문의들 고백 中

 2012년 DECD 국가중에 우리나라가 자궁적출술이 1위라고 한다.

10만 명당 329.9건을 하고 있어 다른 OECD 평균 112.6 건 보다 무려 3배가 높다.

영국보다는 무려 12배나 높다고 한다.

우리나라 병원에서는 과연 여성들의 자궁에 무슨 짓을 하고 있는 것일까?

왜 우리나라 여성에게만 자궁적출술이 많이 일어나는 것일까?

 

하얀 정글 속, 혼란에 빠진 환자들

 

“아주 낮은 확률이라도 그게 암이라고 생각을 해보세요.
 어느 의사도 10년, 20년 괜찮을 거라고 절대 이야기 못합니다.”
“가이드라인은 계속 바뀝니다. 지금 현재 있는 근거를 바탕으로 최선의 진료를 하는 겁니다.”

-의사들의 고백 中

자궁적출술과 함께 과잉진단 논란에 빠진 것이 갑상선암이다.

갑성선암 환자가 갑작스럽게 증가를 한 것은 조기 검진으로 인해서 발견율이 증가 했다는

주장이 있으면서 과연 갑상선암 수술을 해야 하는지 많은 환자들이 혼란 스러워 하고 있다.

다른나라에서는 갑성선에 암이 있다 하더라도 현재 우리나라에서 하고 있는 수술처럼

하고 있지는 않다고 한다. 정기적인 검진과 약을 복용 하더라도 건강을

지키면서 살수 있다고 하는데 왜? 이렇게 우리나라에서만 많은 수술을 하고 있는

것일까?

24살 여성은 지난해 갑상선암 진단을 받고 절게수술을 받았다. 하지만 갑상선을

조직검사한 결과 암이 아니었다고 한다.

의사는 암일 가능성이 높아서 수술을 한 만큼 오진이 아니라며 현대의학의 한계라는

핑계를 하고 있다.

다른 의사들은 이 여성과 같이 갑상선암을 진단받고 수술을 하지만 막상 갑상선 수술을

하고 나면 암이 아니었던 경우가 많았다고 고백을 했다.

 

 

병원에서 병을 얻은 사람들

50대 주부 이씨는 매일 밤 허리를 부여잡고 극심한 통증에 시달린다.

 단순한 허리 통증으로 병원에 내원한 그녀는 간단한 치료로 나을 수 있다는 말에 ‘

고주파 열치료’ 시술을 받았다.

그러나 그날 이후, 그녀는 평생 휠체어를 타야하는 신세가 되고 말았다.

극심한 통증으로 인해 딸의 결혼식조차 가보지 못했다는 이씨는,

더 이상 병원과 의사를 믿을 수 없다고 이야기한다.

 

과잉진료는 왜 일어나는가

대학병원에서 일하는 다양한 과목의 전공의들과, 전문의들에게 과잉진료가 일어나는 근본적인

 이유와 그 해법에 대해 물었다. 전문가들은 환자가 받은 검사나 치료가 득보다 위험성이 더 큰 경우,

 과잉진료, 과잉치료라고 말한다. 환자 상태가 호전되기보다, 잠재적으로 환자들에게

 해를 끼칠 가능성이 있다면 시행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현직 의사조차도 의사와 병원을 믿지 말라며 날선 경고를 보내는 의료 불신의 시대,

환자들은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할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