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송

명의 치매 김상윤 교수 이동영 교수 분당서울대학교 신경과 정신건강의학과 벌레현상 치매 조기치료

우리나라에 치매 인구는 점점 늘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암보다도 더 무서운 병으로

알려지고 있는 병. 바로 그것이 치매다.

 

 

치매는 서서히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몸의 모든 기능이 쇠퇴하는 위험한 질병이다.

특히 치매의 또다른 공포는 가족 등 주변 사람들이 겪어야 하는 정신적, 경제적, 육체적인

스트레시다. 알츠하이머 협회에 의하면 치매 환자를 돌보는 사람들 중에 약 40%가

우울증에 시달리고 있다고 한다.

 

 

치매 환자나 가족을 위한 치료법이 절실한 상황이다. 과연 치매는 고칠 수 없는 병일까?

오늘 명의에는 신경과 김상윤 교수가 출연해서 치매 조기 진단법 연구에 대한 것을

이야기 하고 정신건강의학과 이동영 교수는 국내 최초 치매 클리닉과 치매 협회를

창립한 사람으로 많은 사람들은 치매는 고칠 수 없는 불치병이라고 하지만

두 명의는 치매를 초기에 잡는다면 증상이 악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말한다.

오늘 명의를 통해서 치매 치료법의 희망을 찾아본다.

 

 

나를 잊는 병, 치매

치매의 가장 초기 증상은 기억장애이다. 며칠 전에 들었던 이야기를 잊어버려 같은

 질문을 반복해서 물어보거나 어떤 일을 해놓고 잊어버려 다시 하는 경우도 있다.

 두 번째로는 언어 장애가 나타난다. 하고 싶은 말이나 표현이 떠오르지 않고 남의 말을

 잘 이해하지 못한다. 마지막으로 성격 변화가 나타난다.

온화하고 내성적이었던 김도길 씨, 갑자기 사소한 일에도 화를 내고 아내와 싸우는

일이 잦아졌다. 아내가 잠시만 자리를 비워도 외도를 의심하고 급기야 몸에 벌레가

 기어 다닌다며 ‘벌레 환상’ 증세를 보였다.

 

 


치매 가족의 절규

 

 

“(치매 가족의 고통을) 아무도 모르죠.”

-치매 가족 인터뷰 중 일부

 

 

흔히 치매는 ‘가족병’이라 불린다. 치매에 걸리는 순간, 환자 자신뿐만 아니라 가족 역시

 고통 속에 살아가야 하기 때문이다. 이동영 교수의 진료 시간, 75세의 정양순 씨는

 환한 웃음으로 답한다. 누구에게나 친절한 정양순 씨, 하지만 가족만큼은 언제 돌변할지

 모르는 할아버지 때문에 긴장을 늦추지 못한다.

치매 환자의 증상이 절정에 달할수록 지옥으로 변하는 치매 가족들의 일상.

 치매 환자와 가족을 위한 치료법이 절실하다.

 

 


치매 치료의 첫걸음, 조기 치료!

치매 치료의 과거와 현재를 잇고 미래를 선도하는 두 명의가 있다. 치매 임상 평가집을

 개발해 음지의 병인 치매를 양지로 옮긴 정신건강의학과 이동영 교수.

치매 환자를 위한 조기 진단법으로 주목받고 있는 신경과 김상윤 교수이다.

가족의 행복을 송두리째 앗아가는 절망의 병이라 여겼던 치매! 과연 치매는

 고칠 수 없는 병일까? 이번 주 EBS 명의에서는 두 명의와 함께 치매,

그 희망의 해답을 알아본다.

 

이동영 교수 /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과교실 교수

- 서울시 광역치매센터 센터장

- 한국치매협회 이사

- 국제노년정신약물학회 최우수 연구자상 수상

 

 

 

김상윤 교수 / 신경과 전문의

- 분당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교실 교수

- 분당서울대학교 신경인지행동센터 책임자

- 대한노인병학회 및 대한노인 신경의학회 이사

- 대한치매학회 이사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