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송

다큐3일 경복궁 문화재 119 장인 지각장애 1급 문화해설가 안선옥 경복궁 지도 경복궁 600년 경복궁 관리소

오늘 다큐3일에서는 우리나라 최고의 유산 중에 한가지인 경복궁에 대해 방소을 한다.

경복궁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화 유적지다. 왕과 왕비 그리고 궁녀와 중신

거기에 호위군까지 하루에 삼천 명의 사람들이 다니던 경복궁.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과거의 그들이 하고 싶은 수 많은 이야기.

600백년의 대화를 오늘 다큐 5일에 담았다.

 

■ 서울 도심 속 조선의 숨결

수 많은 빌딩과 차들로 가득한 도를 지나 광화문에 들어서면 평화롭게 보이는

풍경이 펼쳐진다. 딱딱하게 만 보이는 아스팔트와 시멘트를 대신해 기와 담장과

함께 조선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곳 바로 경복궁이다.

 

 

경복궁은 1395년에 지어져 지금까지 600년이 넘게 자리를 지키고 있는 곳이다.

그 자리를 지키기 위해 몇 차례 수난을 당했다.

임진왜란 때에는 화재로 인해 소실 되고 273년간 방치가 되었다.

이를 고종 때 다시 중건을 했지만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전체 건물의 90%가

훼손이 되는 아픈 역사가 있는 경복궁.

 

 

1990년 다시 복원사업시 실시 되면서 경복궁은 다시 제 모습을 찾아가고 있다.

지금은 서울의 얼굴이 된 경복궁에서 과거와 현재 그리고 앞으로의 미래를

오늘 다큐 3일에서 함께 한다.

 

 

 고궁에 살어리랏다! 경복궁 지킴이들의 하루

경복궁 수라간에 아줌마 부대가 출동을 했다. 관람객들이 재미로 뚫어 놓은 창호지를

새것으로 바꾸기 위해서다. 문살에 있는 궁멍난 창로지를 다시 새것으로 바꾸는 것이다.

한지를 재단하고 풀 먹인 종이 바르기 등 모든 일을 사람 손을 거쳐야 할 정도로

번거로은 작업이다. 하지만 아줌마 부대가 출동을 하면 문은 어느새 말끔히

변신을 한다.

 

 

또한 매일 아침 관람객들이 입장을 하기 전에 전각 안에 쌓인 먼지를 쓸고 걸레질을

하는 것도 경복궁 관리소 직원들이 해야 하는 일들이다.

432,703m2(약 13만 평)에 달하는 궐내를 동분서주하느라 힘들 법도 하지만,

 매일 궁궐에 출근하는 게 즐겁다는 이들. 경복궁 관리소 직원들의 하루를 담았다.

 

 

아침에 경복궁에 딱 들어서면 상쾌하고 좋아요.

서울에선 흙 밟을 데가 없잖아요.

여기서는 흙 밟을 수 있으니까 좋고

처음엔 아무것도 모르고 일하러 왔었는데

한 해 한 해 지나니깐 문화재의 소중함도 알게 되고

어느 것 하나 소홀히 해선 안 되겠다는 생각도 들고

굉장히 보람을 느낍니다.

- 김유정(67세) / 경복궁 관리소 직원 -

 

■ 앞으로의 600년을 위하여

아침 8시. 근정전 행각에서는 기와를 교체하는 작업이 진행중이다.

동료가 행각 지붕에 올라가 헌 기와를 골라내기 시작을 하면 다른쪽에서는 기와에

바를 통두깨흙을 빚느라 바쁘다.

 

 

이들은 문화재청 산하에 있는 직영사업단 사람들오 조선시대 사용했던 천연재료와

방법을 그대로 재현을 해서 궐을 복원하고 있다.

이들은 문화재 119라는 별명이 있는 장인들오 목공, 와공, 석공 등 각 분야의

전문가 들이다.

오랜시간동안 힘든 일들을 겪어온 경복궁이 현재의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은 모두

문화재 119의 장인들 덕분이다.

 

 

경복궁을 복원하는 일은 힘들고 손이 많이 가는 일이지만 600년 전의 우리 조상들의

숨결과 얼이 담긴 경복궁을 다시 600년 후에도 지켜졌으면 좋게다고 하는 장인들.

그들의 얼굴에는 굵은 땀방울이 맺혔다.

궁궐을 보수할 때, 기와 한 장이나 돌 하나에도

선배 장인들의 손길을 느낍니다.

우리가 다음 세대에 물려주기 위해 열심히 하는 것처럼

그 분들도 한 땀 한 땀

열과 성을 다해서 일하지 않았을까.

동시대 사람은 아니지만

우리와 같은 생각을 하지 않았을까, 그런 생각이 들어요.

- 양동호(62세) / 문화재청 직영사업단 단장 -

 

■ 손으로 더듬어 그린 경복궁 지도

주말이면 고궁에 담긴 역사를 알리기 위해 자발적으로 나선 시민 문화 해설가들이

 흥례문 앞에 모여든다. 경복궁의 첫 관문을 지나 근정전과 사정전, 강녕전까지 막힘없이

척척 설명하는 안선옥 씨. 그녀는 시각장애 1급이다. 문화 해설가가 되고 싶어 뛰어들었지만,

궐 안의 복잡하게 얽힌 전각과 문의 위치를 외우는 데만 5년이 걸렸다.

 

처음엔 나가는 길을 찾지 못해 지나가는 직원이나 관광객을 붙잡고 도움을 청해야 했다.

그럼에도 포기하지 않은 데는 이유가 있다. 자신처럼 시각 장애를 가진 이들에게 고궁의 아름다움을 전하고픈 꿈 때문이다.

안선옥 씨가 경복궁과 대화하는 방법은 감각으로 만져보고 느끼는 것이다.

 전각을 둘러싼 돌담도, 왕비의 침전인 교태전 뒤뜰도 손끝으로 더듬으며 그 안에 쌓인

 세월과 이야기를 읽는다. 이제는 같은 어려움과 꿈을 가진 이에게 노하우를 전수하고 있는

 안선옥 씨. 그녀의 마음속 경복궁 지도는 환하다.

 

경복궁 지리를 외우기까지 5년 동안 드나들었어요.

여기는 강녕정이구나, 강녕전 앞에는 이런 월대도 있구나.

둘러보면서 만져보고 느끼고

그 안에 담겨 있는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과정이에요.

궁궐은 죽어있는 곳이 아니라 역사가 면면히 흐르고

우리가 되새겨야 할 조상들의 일, 우리의 미래가 담겨 있으니까

자꾸 공부하면서 더 뜨거운 마음이 들어요.

- 안선옥(50세) -

반응형